반응형
마인크래프트 자바에디션 버전 1.14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.
data의 다른 문법에 대해서는 마인크래프트 1.13 [명령어] - 1 을 참고해주세요.
/data modify
- /data modify (block|entity) (<대상좌표>|<대상>) <대상경로> (append|insert <색인>|merge|prepend|set) (from|value) (block|entity|<nbt>) (<소스좌표>|<소스대상>) <소스경로>
- 선택된 대상(엔티티나 블록)의 <대상경로>에 있는 nbt 데이터를 (append|insert <색인>|merge|prepend|set)에 따라 수정합니다.
소스
- from (block|entity) (<소스좌표>|<소스대상>) <소스경로>
- 선택된 대상의 <소스경로>에 있는 nbt 데이터를 이용합니다.
- value <nbt>
- <nbt>에 적힌 nbt 데이터를 이용합니다.
이후에 말하는 <소스>란 이것을 뜻합니다.
append
- <소스>를 <대상경로>에 해당하는 목록의 끝에 집어넣습니다.
- <대상경로>는 반드시 TAG_list 타입이여야하며, <소스>는 그 목록에 해당하는 타입이여야합니다.
- 예시 : /data modify block 173 64 3 Items append from block 175 64 3 Items[0]
- 173 64 3에 있는 블럭의 Items란 nbt 목록에 175 64 3에 있는 블록의 Items의 첫번째 항목의 nbt 데이터를 목록의 끝에 집어넣습니다.
- 예시 : /data modify block 173 64 3 Items append value {Slot:1b,id:"minecraft:stone",Count:10b}
- 173 64 3에 있는 블럭의 Items란 nbt 목록의 끝에 {~}를 집어넣습니다.
insert <색인>
- <소스>를 <대상경로>의 목록 중 <색인>이 가리키는 부분에 집어넣습니다. 그후 집어넣은 요소보다 높은 요소들을 위로 보냅니다.
- <색인>은 확인결과 정수인 숫자입니다.
- <대상경로>는 반드시 TAG_list 타입이여야하며, <소스>는 그 목록에 해당하는 타입이여야 합니다.
- 예시 : /data modify block 173 64 3 Items insert 2 value {Slot:21b,id:"minecraft:dirt",Count:2b}
- 173 64 3에 있는 블록의 Items 목록에서 {~}부분을 2에 집어넣습니다.
- 현재 <색인>에 관해서는 제대로 확인이 되지 않았습니다. 죄송합니다.
merge
- <소스>를 <대상경로>와 합칩니다.
- <대상경로>는 반드시 TAG_list 타입이여야 하며, <소스>는 반드시 TAG_compound 타입이여야합니다.
- /data merge 와의 차이점은 <대상경로>와 <소스>가 존재한다는 것입니다.
- 예시 : /data modify block 173 64 3 Items[0] merge value {Count:45b}
- 173 64 3에 있는 블럭의 Items[0] nbt 데이터에 {~}을 합칩니다.
prerpend
- <소스>를 <대상경로>에 해당하는 목록의 첫번째에 집어넣습니다.
- <대상경로>는 반드시 TAG_list 타입이여야 하며 <소스>는 그 목록에 해당하는 타입이여야 합니다.
- append와 목록에 들어가는 위치만 반대고 나머지는 같으므로 예시는 생략하겠습니다.
set
- <대상경로>에 해당하는 태그를 <소스>로 설정합니다.
- 예시 : /data modify entity @e[type=minecraft:creeper,limit=1,distance=..2] Fire set value 100
- 2범위 내에 크리퍼 한마리의 불 지속시간을 100으로 설정합니다.
반응형
'마인크래프트 강좌 > 명령어 강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마인크래프트 아이템 구성요소 tooltip_style을 사용해보자 (0) | 2024.11.15 |
---|---|
마인크래프트 자바에디션 Item components 강좌 (1) | 2024.04.07 |
마인크래프트 질문 - 보고있는 대상에게 명령어가 발동되게 해보자 (9) | 2021.03.26 |
distance=1 과 distance=..1의 차이 그리고 ..에 대하여 (8) | 2020.04.09 |
마인크래프트 /forceload 강좌 (4) | 2019.10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