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마인크래프트 1.13 명령어 변경점
총정리
동영상[준비중]
이 글은 마인크래프트 위키 1.13항목(+필자지식)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. 오류가 있으면 바로 알려주세요.
빠진점 댓글로 제보해주세요!
명령어 - 1
/advancement
대상 선택자를 위해 /advancement test가 삭제되었습니다.
/blockdata & /entitydata
- 삭제되었습니다. (/data)
- /bossbar create <id> <이름> : 보스바 제작 명령어
- id : 보스바를 대상으로 지정할때 사용되며 namespace:name 으로 구성됩니다. 예시 : potan:boss1, pack:potan
- namespace를 적지 않으면 minecraft가 기본값으로 지정됩니다.
- 이름 : 보스바가 보여질때 나오는 이름으로 JSON형식으로 작성해야합니다.
- /bossbar set <id> name <이름> : 보스바의 이름을 변경합니다.
- /bossbar set <id> color <색> : 이름의 색상을 변경합니다. (기본값은 흰색)
- /bossbar set <id> style <style> : 보스 표시 줄의 스타일을 변경합니다. 기본값은 progress입니다.
- 사용가능한 옵션 : notched_6, notched_10, notched_12, notched_20, progress
- notched : 체력바의 칸을 설정합니다.
- progress : 체력바의 칸을 1칸으로 만듭니다.
- /bossbar set <id> value <값> : 보스바의 현재 값을 변경합니다. 기본값은 0입니다.
- /bossbar set <id> max <값> : 보스바의 최대 값을 변경합니다. 기본값은 100입니다.
- /bossbar set <id> visible <visible> : 보스바를 보이거나 안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. 기본값은 true입니다.
- /bossbar set <id> players <플레이어> : 보스바를 볼 수있는 플레이어를 변경합니다. 기본값은 none입니다.
- /bossbar remove <id> : 보스바를 제거합니다.
- /bossbar list <id> : 생성된 보스바의 목록을 표시합니다.
- /bossbar get <id> (max|players|value|visible) 지정된 부분의 값을 불러옵니다. result 명령에 사용됩니다. - execute result 참조
/data
- 이전 버전의 /entitydata와 /blockdata를 합친 명령어입니다.
- /data get block <좌표> [<경로>] [<크기>] 2
- 해당 블록에서 지정된 경로에 있는 NBT 데이터를 불러옵니다. 크기값은 불러온 NBT데이터에 곱해집니다.
- result 명령어에 이용됩니다. - execute result 참조
- 추가 예정
- /data get entity <대상(1명)> [<경로>] [<크기>]
- 해당 대상의 지정된 경로에 있는 NBT 데이터를 불러옵니다. 크기값은 불러온 NBT데이터에 곱해집니다.
- result 명령어에 이용됩니다. - execute result 참조
- 추가 예정
- /data merge block <위치> <nbt>
- 해당 좌표에 있는 블록의 nbt데이터를 변경합니다.
- /data merge entity <대상(1명)> <nbt>
- 해당 대상의 nbt 데이터를 변경합니다. 플레이어의 nbt데이터는 변경할수 없습니다.
- /data remove block <위치> <경로>
- 해방 블록의 경로에 있는 nbt 데이터를 제거합니다.
- /data remove entity <대상(1명)> <경로>
- 해당 대상의 경로에 있는 nbt 데이터를 제거합니다. 플레이어의 nbt데이터는 변경할수 없습니다.
- 예시
- 이전버전 -> 현재버전
- /entitydata <대상> {} → /data get entity <대상>
- /blockdata <위치> <nbt> → /data merge block <위치> <nbt>
- 새로운 기능
- /data get entity @e[type=pig,limit=1] Saddle 2 - 돼지 1마리가 안장을 착용하면 2(1x2) 안하면 0(0x2)을 불러옴
- /data remove block 34 52 451 Items - 34 52 451 좌표에 있는 블럭의 아이템을 전부 삭제합니다.
/datapack
- 데이터 팩을 제어하는 명령어입니다.
- /datapack enable <이름> : 특정 팩을 활성화합니다.
- /datapack disable <이름> : 특정 팩을 비활성화합니다.
- /datapack list [available|enabled] : 모든 데이터 팩을 나열하거나 사용 가능/활성화된 데이터팩만 나열합니다.
- 데이터 팩은 기본적으로 활성화되지만 비활성화 시킬경우 다음 명령을 사용하여 다시 사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.
- enable <이름> - 특정 팩을 기본 위치로 설정합니다.
- enable <이름> first - 특정 팩을 다른 팩 뒤에 놓고 활성화합니다. (가장 낮은 우선 순위)
- enable <이름> last - 특정 팩을 다른 팩 앞에 놓고 활성화합니다. (가장 높은 우선 순위)
- enable <이름> before <기존 팩> - 특정 팩을 <기존 팩> 뒤에 놓고 활성화합니다. (낮은 우선 순위)
- enable <이름> after <기존 팩> - 특정 팩을 <기존 팩> 앞에 놓고 활성화합니다. (높은 우선 순위)
/clear
- /clear 의 구문이 변경되었습니다.
- /clear [<대상>] [<아이템>] [<데이터>] [<갯수>] [<nbt>] → /clear [<대상>] [<아이템>] [<갯수>]
- 자세한 내용은 아이템 인수 변경점을 참조하십시오 - 마인크래프트 1.13 [명령어] - 그외 변경된것들
/clone
- /clone의 구문이 변경되었습니다.
- /clone <시작> <끝> <지점> filtered [force|move|normal] [<블록>] [<데이터>] →
/clone <시작> <끝> <지점> filtered [<블록>] [force|move|normal]
- /clone <시작> <끝> <지점> [replace|masked] [force|move|normal] [<블록>] [<데이터>] →
/clone <시작> <끝> <지점> [replace|masked] [force|move|normal]
/defaultgamemode & /gamemode
단축형이나 숫자가 아닌 문자열 ID만 가능합니다.
/gamemode 2 → /gamemode adventure
/defaultgamemode sp → /defaultgamemode spectator
/difficulty
/difficulty [<값>] 에서 값이 이제는 단축형이나 숫자가 아닌 문자열 ID만 가능합니다.
/difficulty 2 → /difficulty normal
/diffuculty p → /difficulty peaceful
이제 인수없이 /difficulty 만 사용하여 현재 난이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/effect
- /effect의 구문이 애매함을 피하기 위해 분리되었습니다.
- /effect <대상> <효과> → /effect give <대상> <효과>
- /effect <대상> clear → /effect clear <대상> [<효과>]
- 실제로 아무것도 안한다면 효과를 주는것이 실패할것입니다. 3
- 일부 몹들은 효과에 면역이 됩니다. (예시 : 엔더드래곤)
- 기존의 효과가 강하면 새로운 약한 효과를 막아냅니다.
/execute
/experience
- /xp의 별칭입니다.
- 3개의 부속 명령어로 분할되었습니다.
- /experience add <플레이어> <양> [points|levels]
- <플레이어> 에게 <양>만큼의 경험치나 레벨을 줍니다. (기본값은 경험치입니다.)
- 경험치를 주면 평소처럼 플레이어의 레벨이 올라갈 수 있습니다.
- 음수를 사용하여 경험치나 레벨을 뺄 수 있습니다.
- 경험치를 뺄 경우 플레이어의 레벨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.
- /experience set <플레이어> <양> [points|levels]
- <플레이어>에게 <양>만큼의 경험치나 레벨을 설정합니다. (기본값은 경험치입니다.)
- 현재 레벨의 최대 경험치양보다 많은양의 경험치를 설정할 수 없습니다.
- 레벨을 설정하면 경험치는 이전 레벨과 동일한 비율로 유지됩니다.
- /experience query <플레이어> (points|levels)
- <플레이어>의 경험치 또는 레벨을 불러옵니다.
/fill
- /fill의 구문이 변경되었습니다.
- /fill <시작> <끝> <블록> <데이터> replace [<대체될블록>] [<대체될블록의 데이터>] →
/fill <시작> <끝> <블록> replace [<필터>] - /fill <시작> <끝> <블록> [<데이터>] [destroy|hollow|keep|outline|replace] [<nbt>] →
/fill <시작> <끝> <블록> [destroy|hollow|keep|outline|replace]
/function
- /function은 이제 [if|unless] <entity>를 붙일 수 없습니다.
- /execute로 옮겨졌습니다. - 마인크래프트 1.13 [명령어] - execute
- /function potan if @a → /execute if entity @a run function potan
/gamerule
- /gamerule은 더이상 알 수 없는 규칙(커스텀 게임규칙)을 허용하지 않습니다.
- 이 기능은 함수나 스코어 보드를 이용해 대체 할 수 있습니다.
- 기존 커스텀 게임규칙의 접근이 막혔습니다. 이제 내장 규칙만 사용 할 수 있습니다.
- /gamerule의 값은 이제 유형에 따라 검사됩니다.(잘못 적었는지 알려줌)
- /gamerule의 규칙중 하나인 gameLoopFunction이 태그 minecraft:tick으로 대체되어 사라졌습니다.
/give
- /give의 구문이 변경되었습니다.
- /give <플레이어> <아이템> [<개수>] [<데이터>] [<nbt>] → /give <플레이어> <아이템> [<갯수>]
- 자세한 내용은 아이템 인수 변경점을 참조하십시오 - 마인크래프트 1.13 [명령어] - 그외 변경된것들
/kill
- 대상은 이제 필수로 적어야합니다.
/list
- 이제 싱글플레이에서 사용 할 수 있습니다.
/locate
- 이제 y좌표가 ?대신 ~로 나타납니다.
- /execute store의 result에서는 구조물의 절대거리가 입력됩니다.
- 이제 그룹화된 구조물들은 그룹이름이 아닌 구조물 이름을 적어야합니다. Temple: Desert_Pyramid, Igloo, Jungle_Pyramid, Swamp_Hut
- 클릭하면 찾은 장소로 텔레포트하는 링크가 추가되었습니다.
/op
- 이제 이름말고 대상 선택자를 사용 할 수 있습니다.
/particle
- <params>인수가 삭제되었습니다. 대신 그곳에 적히는것(예시:block)들은 새로운 블록 인수를 이용해 <name>인수 뒤에 쓸 수 있습니다.
- /particle block dirt ~ ~ ~ 0 0 0 0 3
- /particle dust 1 1 1 1 ~ ~ ~ 0 0 0 0 3
- 1 1 1 1 는 순서대로 RGB 색상 값(0~1)과 입자의 크기를 나타냅니다.
- /particle <이름> <위치> 로 적어도 이제 작동합니다. 크기, 속도, 갯수는 기본값인 0으로 설정됩니다.
- 입자의 이름이 변경되었습니다. - 입자 리스트
반응형
'마인크래프트 강좌 > 업데이트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마인크래프트 1.13 [명령어] - NBT (88) | 2018.08.14 |
---|---|
마인크래프트 1.13 [명령어] - 명령어외 다른것들 (29) | 2018.08.11 |
마인크래프트 1.13 [명령어] - 2 (8) | 2018.07.31 |
마인크래프트 1.13 [명령어] - execute (433) | 2018.07.27 |
마인크래프트 1.13 [목차] (0) | 2018.07.2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