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마인크래프트 1.13 명령어 변경점
총정리
동영상[준비중]
명령어 외에 다른것들
일반
- 명령어를 입력할때 도움을 주는 UI가 생겼습니다.
- 명령블럭에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.
- 해당상황에서 입력가능한 명령어를 보여줍니다.
- 구성요소마다 다른색으로 표시됩니다.
- 명령어에 오류가 있으면 빨강색으로 뜹니다.
- 대상 선택 인자에 nbt=이 추가되었습니다.
- 대상 선택할때 명령 제안이 추가되었습니다.
- 새로운 명령 구문 분석 라이브러리인 brigadier
명령과 함수는 이전보다 매우 빠르고 효율적이게 되었습니다.
대부분의 명령은 이제 대소문자를 구분합니다. 가능하면 소문자로 하는게 좋습니다.
예시 : /scoreboard ObJeCtIvEs - 작동안됨
명령 블록의 출력 신호가 "성공 횟수"에서 "결과"로 변경됨
이제 서버 명령(함수, 콘솔, rcon)은 오버월드 좌표 0, 0, 0이 아닌 월드 스폰장소에서 실행됩니다.
오류메세지가 더 많은 정보를 포함하게 되었습니다.
프로파일러에 명령 추가(/debug)
블록상태 파일 변경
블록상태가 없는 블록의 "normal"이 빈 문자열("")로 변경되었습니다.
아이템 프레임은 이제 "normal" 대신 "map=false"로 변경되고, "map" 대신 "map=true"로 변경되었습니다.
모델 참조가 더 이상 models/block가 아닌 models/ 부터 시작합니다.
좌표
- 새로운 좌표 유형인 ^가 추가되었습니다.
- ~와 비슷하게 상대좌표로 실행자의 시선을 바탕으로 좌표가 입력됩니다.
- 기본값은 0,0(남쪽) 입니다.
- 입력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^왼쪽 ^위 ^앞
- ^옆 방향은 지정된 방향의 블록 양입니다.
- 예시 : /setblock ^ ^ ^3 minecraft:dirt - 시전자가 보고있는 방향으로 3블럭 앞에 흙을 설치합니다.
명령 UI
- 명령 UI에 새로운 프로토타입이 생겼습니다.
함수
인수 유형
대상 선택자
이제 애매모호한 인수의 이름이 변경되었습니다.
m → gamemode
l or lm → level
r or rm → distance
rx or rxm → x_rotation
ry or rym → y_rotation
c → limit
- 더욱더 많은 오류들을 감지 할 수 있습니다.
- 이제 limit=0, level=-10, gamemode=purple은 불가능합니다.
- 인수들은 이제 인용될 수 있습니다.
- 이제 "최대"와 "최소"가 분리되지 않습니다. 대신 범위가 지원됩니다.
- level=10 레벨 10입니다. (l=15,lm=15)
- level=10..12 레벨 10, 11, 12입니다. (l=12,lm=10)
- level=5.. 어떤것이든 레벨 5이상입니다. (lm=5)
- level=..15 레벨 15이하입니다. (l=15)
- x, y, z, distance, x_rotation, y_rotation 은 이제 두배가 되고 12.34와 같은 값을 허용합니다.
- x, z는 이제 중앙으로 수정되지 않습니다.
- x=0이 더이상 x=0.5와 같지 않습니다.
- gamemode(전버전 m )은 이제 숫자나 줄인 이름을 사용 할 수 없습니다.
- limit(전버전 c )은 이제 음수를 사용 할 수 없습니다.
- sort=furthest가 그 기능을 대신합니다.
- name인수는 이제 공백을 지원합니다.(인용된 경우에)
- 이제 한 대상 선택자에 같은 인수유형을 여러개 넣어도 가능합니다.
- tag=1,tag=2, tag=!3 : 1, 2 태그를 가지고 3번태그를 가지고 있지 않음
- type=!cow,type=!chicken : 닭과 소가 아닌것
- type=cow,type=chicken : 닭과 소인것이 없기때문에 불가능합니다.
- 이제 정렬을 어떻게할지 수정 할 수 있습니다.
- sort=nearest는 이전의 기본값으로, 거리에 따라 정렬합니다.(@p의 기본값)
- sort=furthest는 그 반대로 정렬합니다.(과거 : c=-5)
- sort=random은 무작위로 정렬합니다.(@r의 기본값)
- sort=arbitrary는 결과를 정렬하지 않는 새로운 옵션입니다.(@e, @a의 기본값)
- 점수 감지의 새로운 방법 : scores={S1=2,S2=3..5}
- 이제 발전과제를 감지 할 수 있습니다. advancements={foo=true,bar=false,custom:something={criterion=true}}
블록
- 블록에는 [<data>]나 [<nbt>]가 필요했지만 이제 전부다 <block>인수에 다음과 같이 통합되었습니다.
- stone
- minecraft:redstone_wire[power=15,north=up,south=side]
- minecraft:jukebox{RecordItem:{...}}
- minecraft:furnace[facing=north]{BurnTime:200}
- ID가 필요합니다. (namespace가 지정되지 않으면 기본값으로 minecraft:가 지정됩니다.)
- 상태는 []안에 쉼표로 구분되게 적으며 블록이 지원하는 속성/값이어야 합니다. 참고로 이는 필수가 아닙니다.
- minecraft:stone[doesntexist=purpleberry] : 이 명령어는 불가능합니다. 왜냐하면 stone은 doesntexist를 지원하지 않습니다.
- minecraft:redstone_wire[power=hi] : 이 명령어는 불가능합니다. 왜냐하면 redstone_wire의 power는 무조건 1 ~ 15의 값이여야 합니다.
- NBT 태그는 {}안에 적으면 됩니다. 참고로 이는 필수가 아닙니다.
- 블록에 대한 "조건"/감지 에서는 적어놓은것만 확인합니다.
- redstone_wire[power=15]를 확인하면 파워만 확인하고 다른 north같은 상태는 무시합니다.
- 블록을 설정할때 적어놓은것은 전부 설정되지만 적지않은 부분은 블록에 따라 기본값으로 설정됩니다.
- redstone_wire[power=15]를 설정하면 power는 15가 되지만 north는 기본값으로 설정됩니다. (이 설정의 경우 none이 설정됨)
- 1.13에는 블록 데이터 값이 없습니다. 그것은 이제 다른 블록이거나 상태입니다.
아이템
- 아이템에는 [<data>]나 [<nbt>]가 필요했지만 이제 전부다 <item>인수에 다음과 같이 통합되었습니다.
- stone
- minecraft:stick{display:{Name:"\"이것은 평범한거같지만 평범하지 않지는 않은 막대기\""}}
- ID가 필요합니다. (namespace가 지정되지 않으면 기본값으로 minecraft:가 지정됩니다.)
- NBT 태그는 {}안에 적으면 됩니다. 참고로 이는 필수가 아닙니다
- 1.13에는 아이템 데이터 값이나 데미지값 같은것이 없습니다.
- 데미지는 nbt에 있는 속성에 있습니다.
- 다른 것들은 다른 아이템이거나 nbt에 있는 속성입니다.
반응형
'마인크래프트 강좌 > 업데이트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마인크래프트 1.14 [명령어] - New 명령어 (12) | 2019.05.04 |
---|---|
마인크래프트 1.13 [명령어] - NBT (88) | 2018.08.14 |
마인크래프트 1.13 [명령어] - 2 (8) | 2018.07.31 |
마인크래프트 1.13 [명령어] - execute (433) | 2018.07.27 |
마인크래프트 1.13 [명령어] - 1 (14) | 2018.07.24 |